![]()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국 크리스천 문화 운동의 선구자 |
||||||||||||||||||||||||||
한 국 기독교인에게 가장 친숙한 기독 잡지로서 '낮은울타리'는 빛난다. 창간 7년째에 접어드는 현재 낮은울타리의 모습은 상당히 희망적이다. 한국 기독 잡지로서는 최고의 발행 부수인 6만부를 자랑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종합 문화 운동으로 그 영역을 착실히 넓혀가고 있다. |
||||||||||||||||||||||||||
|
||||||||||||||||||||||||||
'낮은울타리를 이야기하면서 빠뜨릴 수 없는 것이 바로 대중문화이다. '낮은울타리'에서는 '크리스천 대중문화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매월 발행되는 사랑과 기쁨의 교양지'를 표방한다. 발행인 신상언씨는 '사탄은 마침내 대중문화를 선택했습니다' 등 다수의 저서를 선보인 바 있는 '대안적 문화' 주창자이다. 특히 대중문화의 거대한 흐름으로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뉴에이지' 운동에 정면으로 맞서고 있기도 하다. 덕분에 '낮은울타리'는 특집을 통해 계속해서 대중 문화를 깊이 있게 진단하고 있으며, '뉴에이지'는 거의 매호마다 빼지 않고 다루고 있다. '삐삐 문화'로부터 '재즈', 디즈니 만화의 주인공 '라이온 킹'과 '미녀와 야수', 서태지 신드롬, 마돈나와 마이클 잭슨에 이르기까지 '낮은울타리'는 우리 피부에 와 닿는 대중문화 중 뉴에이지적 요소가 있는 부분에 칼 대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
||||||||||||||||||||||||||
가슴이 메마르고 신앙의 열정을 잃어 가는 현대인들에게 감동과 기쁨을 주는 것이 '낮은울타리'의 정신이라면 위의 지적은 설득력을 잃게 되지만, 그렇다면 '낮은울타리'의 기본 정신은 교회와 세상, 신앙과 삶에 대한 이원론적 부정에 불과하다. 다른 기독 잡지들이 기독 문화를 타락한 대중문화에 대해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는 '인본주의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면, '낮은울타리'는 세대주의적 종말론에 의한 무조건적 부정과 기피로 일관하는 그릇된 신앙을 제시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그보다는 독자들로 하여금 교회와 세상, 신앙과 삶의 벽을 허물게 하고, 자각과 회개, 그리고 하나님의 전 주권적 역사와 섭리(심판까지 포함하는)에 의지하며 새 하늘과 새 땅에의 소망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한 성서적 대안이요, 기독교 문화다. |
||||||||||||||||||||||||||
울타리 웨딩포토 PACE 사업은 낮은 울타리가 펼치는 여러가지 종합 문화 운동 중 하나다. |
||||||||||||||||||||||||||
[Top] [Cover] [Special] [Mission] [Untitle] | ||||||||||||||||||||||||||
![]() |
||||||||||||||||||||||||||
The Voice online No.24 |
||||||||||||||||||||||||||